해리슨 블로그

두루미스 개발기 - 2편 : 인프라

  • 작성 언어: 한국어
  • 기준국가: 모든 국가country-flag
  • IT

작성: 2024-01-25

작성: 2024-01-25 23:34

이전글:


두루미스는 처음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지향했던 만큼 멀티 리전으로 기획/개발되었습니다.

GCP Location

GCP Location

두루미스는 GCP 를 이용하고 있습니다.

구글은 GCP를 서비스하면서 SDN (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) 라고 부르는 강력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구글의 모든 리전들을 전용망으로 연결한 SDN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이죠.

GCP에는 전세계에 39개의 리전이 존재합니다. 그중 두루미스는 아시아에 3개 , 유럽에 1개 , 그리고 북미에 2개 남미에 1개의 리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
좀 더 자세히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서울
  • 싱가포르
  • 뭄바이
  • 벨기에
  • 사우스 캐롤라이나
  • 상파울로
  • 로스 엔젤레스

사용자가 글을 작성하면 구글의 전용망을 통해서 해당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복제되어 각 지역으로 전달되고, 독자가 글을 읽을때는 가장 가까운 리전에 있는 글과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됩니다.

여기에는 정말 복잡한 많은 기술들이 숨어 있습니다.

Cloud SQL 의 실시간 복제 기술이라던가,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BigQuery ,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빠르게 볼 수 있게 해주는 Global CDN 기술, 그리고 필요한만큼만 서버를 최적의 환경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Serverless 환경인 Cloud Run 과 Google Kubernestes Engine - Autopliot Cluster 등이 그것입니다.

물론 그 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기술들이 숨어 있습니다만,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도록 하겠습니다.

다음 글에는 구글의 최신 AI 인 Gemini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.


다음글:

댓글0